※ 이 강의는 비대면 진행입니다. 강의 기본 정보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세종국어문화원 특강 #1 : 12월 9일(화) 20:00 - 21:30 특강 #2 : 12월 11일(목) 20:00 - 21:30 강사...

※ 이 강의는 비대면 진행입니다.
강의 기본 정보
-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세종국어문화원
- 특강 #1 : 12월 9일(화) 20:00 - 21:30
- 특강 #2 : 12월 11일(목) 20:00 - 21:30
- 강사 : 송두혁(문화기획 집현전 총괄프로듀서, 세종국어문화원 전문위원)
주제와 내용
강의 개요
개인이나 회사에서 협업에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드라이브 서비스를 중심으로 몇가지 인공지능 기능들을 어떻게 활용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인가, 그 전체적인 사용 모델 제시와 구체적인 사례 시연 등을 통하여 일상의 디지털 능력을 좀 더 올릴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강의 내용
- 협업 도구 활용에 대한 방향 제시
- 인공지능 서비스의 효율적 활용 기준 제안
- 구글 서비스 기반의 개인별 디지털 책상 개념 제안
- 디지털 책상에서의 일상과 일의 협업 체계
- 디지털 책상 위에서의 인공지능 서비스 활용
- 마무리 : 높여야 할 디지털 역량 제시
강의 개요
개인이나 크고 작은 조직 모두 활동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디지털 아카이빙’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 부분을 소홀히 하면서 열심히 SNS 활동을 하거나 온라인 사회관계를 유지하기도 하고 아카이빙과 온라인 관계활동을 분리해서 유지한다. 개인이나 조직의 아카이빙과 온라인 사회관계 활동을 어떻게 설정하고 준비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좋은 효율적인가 그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의 내용
- 디지털 아카이빙, 온라인 사회관계에 대한 개념 설명과 설정
- 온라인 사회관계별 정보와 콘텐츠의 공유 구조 분석
- 디지털/온라인 활동의 결과물에 대한 분석
- 효과적인 아카이빙 마케팅의 모델 제시
- 그 모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사항 제시
- 마무리 : 높여야 할 디지털 역량 제시
문의: 세종국어문화원 http://barunmal.org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