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Nav

에디터정보

Haangle Latest

latest

움직씨 ‘짓다’에 대하여

글은 쓰는 것일까? 짓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문학 작품의 경우를 두고 보면 ‘쓰다’ 와 ‘짓다’ 중 어느 것이 더 적합한 말일까? 두 낱말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있다면 그 차이는 무엇일까? 따위가 궁금해져서 살펴보기로 했다....


글은 쓰는 것일까? 짓는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 때가 있다. 문학 작품의 경우를 두고 보면 ‘쓰다’ 와 ‘짓다’ 중 어느 것이 더 적합한 말일까? 두 낱말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있다면 그 차이는 무엇일까? 따위가 궁금해져서 살펴보기로 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펼쳤다. 두 낱말 다 참 많은 풀이말을 달고 있다. 그 어느 낱말을 사용하든 틀린 것은 아닐 것 같다. 그런데 나는 ‘짓다’에 더 끌린다. 그 까닭은 열두 가지도 넘는다.

제일 먼저 ‘짓다’는 내 몸의 핏줄처럼 신경처럼 삶 전체에 퍼져 있다. 삶의 세 가지 기본요소인 옷과 밥과 집에 이어져 있다. 사람은 옷을 ① 지어 입고, 밥도 ② 지어 먹고, 집도 ③ 지어서 산다. 이 뜻만으로도 결코 적지 않은 뜻을 가진 낱말로 여겨지지만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부터 시작이라 해도 될 듯하다. 옷, 밥, 집을 짓는 재료를 생산하는 농사도 ④ 짓는 것에 이어진다. 목화를 심어 가꾸어야 무명을 얻어 옷을 지을 수 있었다. 밥 짓는 쌀과 반찬거리도, 집 짓는 재료도 농사로 지어야 한다. 짓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옷 지어 입고, 밥 지어 먹으며, 집짓고 사는 사람들 모두 아프지 않고 살 수 있으면 그보다 더 좋을 일이 없겠지만 아프지 않을 수 없다. 그 아픈 이유야 어떻게 다 헤아릴 수 있으랴만 아픈 걸 아프지 않게 다스리는 방법은 약을 ⑤ 지어 먹는 것이다. 아픈 몸을 낫게 하는 약은 사 먹는 게 아니라 지어 먹는다. ‘사 먹는다.’ 는 말에는 냉정한 자본주의 냄새가 나지만 ‘약 지어 먹는다.’ 에는 어딘지 모르게 정성이 가득 깃든 것 같다. 사 먹으면 낫지 않을 몸이 지어 먹으면 쉬 나을 것 같기도 하다.

사람이 태어나면 제일 먼저 갖게 되는 것이 이름이다. 이름을 갖는 것은 사람의 대접을 받는다는 것이다. 사람에겐 이름이 중요하기도 해서 한 생명의 탄생을 기다리며 태어나기 전에 태명을 짓기도 한다. 그런 이름도 ⑥ 짓는 것이다. 이름은 바로 생명이다. 김춘수 시인이 「꽃」에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내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고 노래했듯이 이름이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이름을 갖는다는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주소를 갖는 것이며, 사람은 그 이름으로 존재한다.

이름과 관련해서 참 끔찍한 일도 있다. 유발 하라리는 『호모데우스』에 “칼라하리 사막의 쿵 족과 북극의 이누이트 집단에 따르면 인간의 생명은 이름이 지어진 뒤에야 시작한다. 아기가 태어나면 가족들은 한동안 이름을 짓지 않는다. 기형아로 태어나거나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 아기를 기르지 않기로 결정하면 그들은 아기를 죽인다. 이름을 지어주기 전에는 그렇게 해도 살인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썼다. 생명의 탄생과 이름이 갖는 의미를 깊이 생각하게 하는 일이다.

이렇게 사람은 태어나서 이름을 갖고 가족을 구성하고 사회를 이루어 살아가게 된다. 가족 구성의 기본인 짝도 ⑦ 짓는 것이다. 짝을 지어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세상은 짝만으로는 살 수가 없다. 무리를 ⑧ 지어야 살아갈 수 있다. 사회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란 명제를 생각하면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렇게 사회를 이루어 살아가면서 사람은 여러 가지 표정을 ⑨ 지으며 산다. 슬프면 눈물짓고, 기쁘면 웃음 짓듯이 어떤 표정이나 태도를 얼굴이나 몸에 나타내는 것이다.

사람은 살아가기 위해서 일을 해야만 한다. 일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가 없다. 모든 일은 잘해야 한다. 잘하려면 무슨 일이든 차례에 따라야 한다. 그 차례에서 끝맺는 것을 매듭 ⑩ 짓는다고 한다. 바느질을 하고 나서 실의 매듭을 잘 지어서 풀어지지 않게 하거나, 이삿짐을 묶은 끈의 끝에 매듭을 지어 풀어지지 않게 하는 것 따위로 묶거나 꽂거나 하여 매듭을 짓는 것이다. 또 시작과 끝이 있는 일을 끝맺는 마무리 ⑪ 짓다가 있다. 이 정도에 오면 ‘짓다’에 대한 이야기도 마무리할 때가 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 모르지만 ‘짓다’ 엔 아직 할 말이 더 있다.

열두 번째로 시, 소설, 편지, 노래 가사 따위와같은 글 쓰는 것을 ⑫ 짓는다고 한다. 초등학교 다닐 때 ‘글짓기’ 라고 배웠다. ‘짓다’ 라는 말, 이렇게 살펴보니 ‘쓴다’ 라는 말보다 정성이 더 들어가는 것 같다. 옷도 밥도 집도 지어서 살고, 짝 짓고 무리지어 세상을 살아간다. 병나면 약 지어 먹고 몸을 지탱한다. 그래서 글도 잘 지어서 마음병을 고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 글을 ‘쓴다’ 하지 않고 ‘짓는다’ 하고 싶다.

‘짓다’에는 이렇게 열두 가지나 되는 좋은 뜻이 있는데, 정말 없었으면 좋겠다 싶은 뜻도 있다. ‘거짓으로 꾸미다’ 처럼 ⑬ ‘억지로 미소를 지어서 웃고 있다.’ 따위다. 이 정도는 크게 거북하지는 않지만, 사람이 살면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일, 이쯤이면 짐작될 것이지만 죄를 ⑭ 짓는다가 있다. 이게 좀 못마땅하다. 그러나 글은 짓되 죄는 짓지 말자는 다짐말로 새기면 못마땅한 것도 끌어안을 수 있겠다. ‘짓다’ 앞에 움직씨라고 품사를 밝히면 ‘짓다’는 나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가지기도 한다. 이제 ‘짓다’를 섬겨 글을 쓸 것이 아니라 지어야겠다.



문무학

문무학

시인

mhmun7867@hanmail.net



댓글 없음

Latest Articles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