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Nav

에디터정보

Haangle Latest

latest

언어 인지 감수성, 신어로 세상 바라보기

▲한글나라 입체도(작가:조산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데 대한 기록은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름이 없는 사물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 여러 용어를 만들었고, 몇몇 문헌에서 이러한 용어를 만든 이...

▲한글나라 입체도(작가:조산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데 대한 기록은 고대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름이 없는 사물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 여러 용어를 만들었고, 몇몇 문헌에서 이러한 용어를 만든 이유에 대한 설명을 담았다고 한다. 물론 ‘어휘의 역동성’ 또는 모국어화자가 가진 ‘어휘 차원에서의 창조성’을 대표하는 신어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물론 역사와 문화의 격동기에 더욱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개화기 이후 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지식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현대신어석의』(1922)나 『신어사전』(1934) 등이 편찬된 것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신어사전 『Fifty years among the new words: A dicti onary of neologisms』(1941~1991)이 편찬되기 시작한점 등이 대표적 사례일 것이다.

그러나 인류의 삶에서, 또 그러한 삶을 반영하는 언어에서, 인류가 명명의 욕구로부터 자유로웠던 때는 없었던 듯하다. 1930년대 『별건곤』이라는 잡지에 소개된 당시 신어를 살펴보면 흥미로운 외래어 신어들이 눈에 띄는데 ‘카메레온, 쿠-폰, 케-불카-’ 등 오늘날 아주 흔히 쓰이는 단어들이 정의와 함께 신어로 등재되어 있다. 한편 같은 시기, 같은 잡지에 실린 또 다른 흥미로운 예는 ‘토마토-하이칼라’이다. 여기에는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에는 생소했던 서양 토마토를 ‘억지로 먹기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킨다는 뜻풀이와 함께 ‘빈정거릴 때 쓴다’는 사용 맥락 정보까지 덧붙여져 있다. 이러한 몇몇 사례를 통해 우리는 당시의 신어 생성의 동인, 즉 명명에 대한 욕구 역시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신어는 새로운 문화와 제도, 사물에 대해 이름을 붙이기 위해서도 창조되지만, 새로운 범주화나 당대의 가치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우리는 신어의 생성 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신어의 겉모습인 ‘형태’보다는 ‘신어’를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와 ‘개념’ 또는 그 저변에 깔린 욕구를 분석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어 생성의 주요 요인인 ‘새로운 범주화’는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신어가 가진 대표적인 범주화의 기능은 일련의 형태를 통해 쉽게 고찰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세대 담론’ 즉 ‘세대론’을 형성해 온 ‘명사+세대’를 살펴보자. ‘명사+세대’의 신어류는 흔히 정치적, 상업적 의도를 가진 집단 또는 언론 매체로부터 명명된다고 논의되기도 하지만, 언어학적으로는 신어가 가진 새로운 범주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코로나 세대, 베이비붐 세대, 팔십팔만 원 세대’ 등의 몇몇 사례들을 보면 이들 명칭들은 일정한 경험과 주요 사건, 가치관을 공유하는 공동체의 범주를 드러냄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그 각각의 세대를 형성하게 만든 주요 요인과 사건들을 담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일간지에서 출현한 ‘명사+세대’는 무려 260여 개가 넘는데, 이들을 잘 살펴보면 ‘컴퓨터 세대(1992 최초 출현), 디지털 세대(1997), 웹 세대(2000), 모바일 세대(2001), 스마트폰 세대(2010)’와 같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범주화하기도 하고, ‘밀레니엄 세대(2000), 아이엠에프 세대(2008), 코로나 세대(2020), 엠제트 세대(2018)’나 ‘팔십팔만 원 세대(2009), 삼포 세대(2011), 칠포 세대(2015), 엔포 세대(2015)’와 같이 특정한 시대나 역사적 사건, 특정한 현상에 따라 범주화하기도 한다. 한편 ‘막장 세대(2008), 잉여 세대(2009), 앵그리 세대(2003), 좀비 세대(2009)’는 범주화 자체가 가지는 가치 판단의 편향성과 차별성의 쟁점이 있어 보이며, ‘절망 세대(2012), 절벽 세대(2015)’ 또한 어떤 의도로 명명되었든 어떤 연령대나 집단을 지칭하든지 그 차별성으로 인해 부적절한 명칭이 될 것이다.

또 다른 사례로, 2024년 최초로 ‘1인 세대 1,000만 세대’로 돌입한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하는 ‘혼+ 명사’의 사례도 흥미롭다. ‘혼밥, 혼술, 혼맥, 혼치킨’ 등 ‘혼’은 ‘혼자’에서 출발하였으며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혼밥’과 ‘혼술’은 각각 2014년과 2015년에 최초 출현하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혼+명사’의 최초 사례는 ‘혼밥’이나 ‘혼술’이 아닌, 2011년도에 최초로 등장한 ‘혼캉스’였다. 즉 혼자 보내는 바캉스, 여름 휴가가 ‘혼+명사’의 최초 사례이다. 혼자서 밥을 먹거나 휴가를보내는 일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일까? 우리가 2014년도에 비로소 밥을 혼자 먹기 시작한 것도 아니고 또혼자 휴가를 보내는 일이 2011년도에 최초로 등장한것도 아니지만, 이러한 신어들은 나름의 이유에서 등장했고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들은 과거 공동체나 가족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활동이 개인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나아가 개인의 문화로도 확장됨을 보여주는데, 그도 그럴 것이 2024년 현재, 우리는 네 가구 중한 가구가 1인 가구인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신어를 바라볼 때, 주로 그 새로운 형태에 집중하며, 특정 형태가 가지는 유행어와 같은 가벼움, 다소 격이 낮은 듯한 인상 등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언어는 삶 자체를 담고 있고, 신어 창조의 핵심은 형태라기보다 개념이다. 즉 당대 창조자들이 나타내고자 하지만 현재의 어휘로는 담을 수 없는, 어떤 개념, 명명의 의도나 욕구가 더 중요하다. 명명의 의도가 되는 현대인의 욕구와 언어 창작자의 의도, 이것을 확장해서 사용하는 언중들의 의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언어를 들여다보는 ‘언어 인지 감수성’ 이 필요할 것이다.



남길임

남길임

한글학회 이사, 연세대 교수

nki@yonsei.ac.kr



댓글 없음

Latest Articles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