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Nav

에디터정보

Haangle Latest

latest

[정음1446] 인터뷰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는 위대한 업적이지만, 실제 그 과정에 대한 기록은 실록에 매우 간략히 실려 있다. 『세종실록』과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세종이 친히 글자를 만들었다고 전하지만, 창제에서 반포까지의 치열했던 순간들은 오늘날 오롯이 상상의...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는 위대한 업적이지만, 실제 그 과정에 대한 기록은 실록에 매우 간략히 실려 있다. 『세종실록』과 『훈민정음 해례본』에서는 세종이 친히 글자를 만들었다고 전하지만, 창제에서 반포까지의 치열했던 순간들은 오늘날 오롯이 상상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이번 시나리오는 그 기록들을 바탕으로 백성을 향한 세종의 마음과 모든 이가 문자로 소통하기를 바랐던 꿈, 그리고 그 뜻을 함께한 이름 없는 이들의 열정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되살리고자 한다. 이는 세종 정신을 잇는 작지만 뜻깊은 걸음이 될 것이다.

작가 정성현

세종국어문화원 인문학연구소장 / 한글닷컴 에디터



세종의 '훈민정음'은 단순한 문자 체계의 발명을 넘어, 지식과 권력을 백성에게 돌려준 역사적인 사건이자 위대한 혁신이었다. 그 덕분에 소통의 장벽은 허물어지고, 새로운 세상이 열렸다. 우리는 인공지능(AI)이라는 혁신적 도구를 통해 창제와 반포의 역사적인 순간을 새롭게 상상하고 재현하는 동시에 그 숨결을 되살려보고자 한다. 인공지능(AI)이 우리 삶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고 있듯이 세종의 '훈민정음'이 세상을 이롭게 바꾸는 혁신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훈민정음'의 위대함과 소중함을 다시 느끼길 기대한다.

기술고문 문성철

광신방송예술고 교장



댓글 없음

Latest Articles

LANGUAGE

한글닷컴(Haangle)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