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음1446 ⓒHaan+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는 그야말로 조선시대 최고의 극비 연구였다. 왕이 직접 나서서 만든 혁명적인 문자체계였지만, 정작 그 발표는 놀랄 만큼 조용했다. 최고 권력자였던 세종은, 어째서 이 위대한 업적을 은밀히 추진했...
정음1446 ⓒHaan+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는 그야말로 조선시대 최고의 극비 연구였다. 왕이 직접 나서서 만든 혁명적인 문자체계였지만, 정작 그 발표는 놀랄 만큼 조용했다.
최고 권력자였던 세종은, 어째서 이 위대한 업적을 은밀히 추진했던 것일까?
세종의 가상 독백으로 그 마음을 짐작해보자.
"집현전 학사들에게 연구해서 만들도록 할까? 그건 불가능하다. 나의 의도를 이해하기도 어려울뿐더러 이해했다 하더라도 자신들의 한자 기득권 때문에 강력하게 반대할 것이다.“
세종은 이미 알고 있었다. 한자로 권력과 지식을 독점해온 양반 사대부들이 백성을 위한 쉬운 글자 창제를 결코 환영하지 않으리라는 사실을. 그래서 세종은 먼저 글자를 완벽하게 완성한 후,, 뜻을 같이하는 소수의 학사들과만 후속 연구를 진행하는 전략을 택했다.
1443년 12월의 간략한 기록
비밀 연구 끝에 스물여덟 자를 완성한 세종은 1443년 12월 어느 날, 거창한 선포식 없이 조용히 그 사실을 알렸다. 당시 상황으로는 대대적으로 알리기 어려웠기에, 집현전 일부 학사들을 중심으로 차근차근 알렸을 것으로 추측된다.
더 흥미로운 점은 《세종실록》의 기록 방식이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명확한 날짜조차 알 수 없었던 사관들은, 그해를 마감하는 마지막 날인 12월 30일에 비로소 이를 기록했다:
이달에 임금께서 친히 언문 스물여덟 자를 만들었다. 이 글자는 옛 전서체를 닮았으되,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지며, 이 셋을 합쳐야 글자(음절)가 이루어진다. 무릇 중국 한자나 우리나라 말이나 모두 능히 쓸 수 있으니, 글자가 비록 간결하지만 요점을 잘 드러내고, 요리조리 끝없이 바꾸어 쓸 수 있어 이를 <훈민정음>이라 일컫는다.-《세종실록》 1443년(세종 25년) 12월 30일
세기의 발명이 ‘이달에’ 만들어졌다는 애매하면서도 담담한 표현으로 기록된 것이다.
실록 기록이 이처럼 단순하고 간략한 것은 당시 싸늘한 분위기를 반영한다. 왕이 직접 만든 새로운 문자 체계였음에도, 집현전 학사들과 양반 사대부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정음1446 ⓒHaan+
세종의 예상대로, 불과 1년 뒤인 1444년 2월 최만리를 비롯한 집현전 학사 7명이 반대 상소를 올렸다. "중화를 섬기는 나라가 오랑캐 글자를 쓰면 안 된다"는 논리였다.
당시 최고 지식인들에게 훈민정음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위협하는 위험한 발명품이었다. 누구나 하루아침에 배울 수 있는 쉬운 글자라니! 이는 한자로 쌓아올린 지식 권력의 벽에 금이 가는 것과 같았다.
결국 세종은 혼자서 만들고, 조용히 발표하고, 거센 반대에 부딪혀야 했다. 세기의 발명이 축제가 아닌 논쟁을 촉발했다. 하지만 세종은 흔들리지 않았다. 오히려 반대하는 정창손에게 "이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며 강하게 질타했다.
인류 문자사의 위대한 순간
조용히 시작한 문자 혁명은 결국 500년이 넘는 시간을 거쳐 세계가 인정하는 과학적 문자가 되었다. 1443년 12월의 그 담담한 기록이, 실은 인류 문자사의 가장 위대한 순간 중 하나였던 것이다.
정성현 / Jeong Seonghyeon
한글닷컴(Haangle.com) 인문미디어연구소장, 세종국어문화원 인문학연구소장
김슬옹
한글닷컴(Haangle.com) 한글연구소장/편집위원, 세종국어문화원장
댓글 없음